베이비붐 세대(1963~1955년)의 은퇴시기가 도래하면서 귀농귀촌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인생2모작으로 농촌에 관심을 두는 직업군도 기존 직장인 중심에서 경찰·군인 등 공직출신자로 확산되고 있다. 또 고용 불안정 여파로 청년층도 농촌에서 사업 기회를 모색하려는 경향도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터전에서 너무 먼 곳에 정착하는 데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 보니 수도권의 농촌이 귀농귀촌 정착지로 인기를 얻는 이유다. 고령 퇴직자들이 대형 병원과 가깝고 지인과 교류하기 편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도 무관치 않다.
주부 김모(35)씨는 다섯살배기 딸을 위해 서울 생활을 포기했다. 딸이 아토피로 고생하는 모습에 마음이 아팠기 때문. 아이를 위해 유명하다는 한의원을 찾아 다니길 몇 년이 지났지만 효과를 보지 못했다. 결국 김씨는 전남 고흥군으로 터전을 옮겨 농부로의 새 삶을 시작했다. 그는 "딸이 서울에서는 햄버거 등 인스턴트 식품을 사달라고 졸랐지만 이 곳에는 그런 음식을 파는 곳이 거의 없다"며 "경치도 좋고 공기도 맑아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농촌에서 인생 2모작을 꿈꾸는 인구가 해마다 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약 30%는 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귀농가구 전입가구원의 성별·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모두 1만8864명이 도시를 떠났고 이 가운데 5129명이 30대 젊은이들이었다.
이는 귀농인구 전체의 27.2%에 해당하는 수치로 40대 2239명과 60대 3160명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전문가들은 귀농귀촌인과 지자체들의 ‘신(新) 전원일기’가 알차게 쓰여지려면, 장기적인 안목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도시가 싫어서 뜨든, 개인적 사정 때문에 시골행을 택하든, 젊인 인구의 유입은 농촌을 다시 살리는 활력소가 아닐 수 없다. 때문에 젊은 인구를 끌어들이기 위해 각 지역별로 다양한 방법을 쓰고 있다.
실제 충남 청양군은 오는 11월까지 10억원을 들여 지상 2층 규모 귀농인의 집을 짓고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 6가구에 임대해 주거 및 영농기술 습득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금산군은 2013년부터 60억원을 투입해 330㎡의 개별 텃밭이 포함된 주택 16동과 기숙형 숙소 1채, 종합교육관 등을 갖춘 귀농교육센터를 완공했다. 최근 문을 연 이 센터는 16가구, 36명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태안군은 지난해부터 마을의 빈집을 개조해 제공하고 있으며 집들이비 50만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경북 상주시도 기존 주민들과의 화합을 유도하는 차원에서 같은 금액의 집들이비를 내주고 있다.
강원 평창군과 화천군은 귀농인의 고교생 자녀에게 입학금과 수업료를 전액 지원한다. 평창군은 장학금 말고도 선도농장 현장실습에 120만원을 지원하고 비닐하우스, 저온저장고 등 각종 농정보조사업의 60%를 보조하며 정선군은 농기계 구입비를 500만원까지 부담한다.
이밖에도 제주 서귀포시는 남원읍으로 이주해 자녀를 지역 초등학교에 보낼 경우 주택 자금을 보조하고, 충북 단양군은 전기·수도는 물론 인터넷 설치까지 지원한다. 경남 창녕군은 적응을 돕기 위한 지역 토착민과의 화합 축제에 3500만원을 들일 예정이다.
농업기술 교육 및 정착금·주택수리비 지원, 낮은 금리의 농업창업 자금과 농가주택 구입·신축 자금 대출 등은 이미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지자체들의 이러한 노력은 귀농귀촌 인구의 높은 증가세로 이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4만458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종전의 사상 최대였던 전년의 3만2424가구보다 37.5% 늘어난 규모다.
지자체별 귀농인구는 경북이 2172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남 ▲경남 ▲충남 ▲전북이 차례로 뒤를 이었다.
특히 충남 태안군은 1989년 8만4929명이던 인구가 지난해 8월 6만2291명까지 줄었다가 1년 만인 지난달 말에는 934명이 늘어난 6만3225명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등지에서 225가구, 413명이 정착한 데 따른 것으로 신도시 효과를 누리고 있는 홍성군을 빼면 충남 군 단위 지역에서 유일한 증가다.
전북 고창군은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귀농귀촌으로 이주한 가구수가 3168가구, 5700여명에 달해 현재 전체 인구 6만70여명의 10%에 가깝다. 완주군도 같은 기간 1539가구, 2800여명이 이주해 전체 인구의 11%를 차지했다.
강원의 귀농귀촌인은 1990∼2000년 1524명, 2001∼2010년 1602명 등에서 지난해 3772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충북 단양군은 2010년 61가구 112명에서 2013년 398가구 604명, 제천시도 2011년 수십가구 수준에서 지난해 302가구, 476명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도시민 유입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는 농촌지역 입장에서는 반가운 일이지만 무계획적인 귀농귀촌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귀농귀촌종합센터 측은 "특정 작목만 한정적으로 교육하고 육성하면 과잉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자체는 귀농시책을 정할 때 다양한 아이템을 개발해서 새로운 시장을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귀농귀촌은 고사하는 지역경제에 숨통을 트이게 하는 일시적 방안은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출산과 농공단지 조성이 농촌인구 증가의 최선책"이라며 지자체의 과도한 귀농귀촌인 유치 경쟁을 경계하기도 했다.
귀농귀촌인에 대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예비 귀농귀촌인들은 정착하려고 하는 곳에 대한 농지 확보부터 농작물 선택, 농작 기계 등을 준비하기 위해 적어도 2∼3년이라는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도 "섣불리 땅을 사서 큰 집을 짓고 농기계를 장만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며 "해당 지역에 맞는 작물을 고른 뒤 텃밭을 조금씩 가꾸고 농사일을 배운다는 자세로 차근차근 시작해야 실패를 피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금산군청 관계자는 "젊은 사람들이 취업이나 아이 건강문제 등으로 시골에 왔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한다"며 "마을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자체 관계자는 "특수작물 재배 등으로 억대연봉이나 대박을 꿈꾸고 귀농하는 젊은이들도 있지만 이런 사람들은 십중팔구 실패해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일도 많다"고 귀띔했다.
출처 세계일보 김현주 기자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용인전원주택 전원주택단지 양평전원주택 전원주택시공 전원주택매매 전원주택분양 전원주택설계 전원주택급매물 제주도 전원주택 양평전원주택 급매물 전원주택짓기 전원주택사진 용인전원주택단지 경기도전원주택 여주전원주택 강화전원주택 전원주택 건축비 이동식주택 이동식목조주택 단독주택 효소건강다이어트 |
'전원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산 기장 현장 추석전 방문이후 리뷰 (0) | 2015.10.15 |
---|---|
[스크랩] 영동 통나무집 최근 15년 가을 풍경(추석전) (0) | 2015.10.15 |
[스크랩] 외딴섬 나만의 집 나만의 공간 (0) | 2015.10.15 |
[스크랩] [재테크 이슈] 남은 건 오직 집 한 채…당신의 노후는 안녕하십니까 (0) | 2015.10.10 |
[스크랩] 대전 하기동 1.3ℓ 패시브하우스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