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스크랩] 우슬의 효능

728x90

우슬의 효능

▶우슬은 비름과에속하는 다년생풀인 쇠무릎풀(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길섶, 들판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캐서 물에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피를 잘 돌게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뼈마디의 운동을 순조롭게하며 태아를 떨군다.

▶약리실험에서 자궁수축작용, 이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무월경, 난산, 산후복통, 산후자궁무력증, 부정자궁출혈, 부종, 임증(淋證),

부스럼, 타박상(打撲傷)등에 쓴다.

▶하루 4~10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가서 먹는다. 임신부에는 쓰지 않는다. 

▶쇠무릎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인 쇠무릎이 자라고 있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네모진 줄기는 50~100cm 높이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약간 있다. 

▶8~9월에 줄기와 가지끝의 수상꽃차례에 연녹색 꽃이모여 달린다. 

▶열매에 뾰족한 털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털에 잘 달라붙는다. 

▶봄에 돋는 어린순을 나물로 해 먹으면 맛이좋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쇠무릎의 다른 이름은 우슬(牛膝, 백배:百倍: 신농본초경),

회우슬(懷牛膝: 본초편설), 계교골(鷄膠骨: 민동본초),

우슬초, 쇠무릎팍, 쇠무릎, 쇠무릅지기,등으로 부른다.

▶한국에서는 중국산 우슬을 천우슬(川牛膝), 한국산 우슬을 상우슬(常牛膝)로 구분한다.

천우슬은 원기둥형의 말꼬리 모양이며 잔줄기는 없다.

▶뿌리의 두부는 길이가 약 10㎝, 지름이 약 2㎝인데 미세하고

쭈글쭈글한 무늬가 있으며 목질이 단단하다.

뿌리 부위는 지름이 1㎝ 미만이나 길이는 40~90(또는 100)㎝에 이르고,

겉은 황회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상우슬은 가늘고 긴 원기둥상으로 길이 6~10㎝, 지름 0.3~1㎝이다.

▶뿌리의 두부에는 잔줄기가 있다. 우슬의 겉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세로로된

쭈글쭈글한 무늬가 있다. 쪼갠 면은 섬유성으로 유백색 또는 갈색을 띤다.

11~12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킨다.

▶주요성분은 사포닌·칼륨·점액질 등이다. 성질은 평(平)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쓰고 시다. 주로 간경·신경(腎經)에 작용하면서 폐경·위경·심포경(心包經)에도

작용한다. 우슬을 생것으로 사용하면 활혈거어(活血祛瘀:혈을 소통시키고 어혈을 제거함)

통리관절(通利關節:관절을 부드럽게 함)·인혈하행(引血下行:혈을 신체의 아랫부분으로

보냄)하고 주제(酒製)하면 간신(肝腎)을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해준다.

▶우슬은 주로 요퇴부와 허리 이하 다리의 통증에 사용한다.

▶신허(腎虛)로 인한 요통에는 우슬의 보익간신(補益肝腎)하는 효능을 이용하는데,

두충(杜沖)구척(狗脊)·속단(續斷)·상기생(桑寄生) 등을 가미하여 보익력을 증가시킨다.

▶풍습으로 인한 요부 통증에는 하행(下行)시켜 거풍·거습·지통의 효과를 높이는 우슬의

작용을 이용하는데, 낙석등(絡石藤)·해동피(海桐皮)·비해(??)창출(蒼朮) 등을

배합해서 사용한다. 우슬은 타박염좌에도 효과가 있는데 다른 활혈약(活血藥)이나

간신(肝腎)을 보하는 약을 가미해서 쓰면 더욱좋다.

 

▶주로 혈뇨나 요통을 수반하는 임증, 예를 들면 석림(石淋:특히 신장결석)에 적용된다.

기체어혈로 인한 월경통·무월경·희발월경(稀發月經)에는 자궁수축·진통작용을 하여

거어통경(祛瘀通經:자궁 내부의 어혈을 제거시킴으로써 월경을 통하게 함)한다. 

▶고혈압으로 두통·어지러움 등의 간양상항증(肝陽上亢症)이 있을 때는

두충·자석(磁石) 조구등(釣鉤藤)·백질려(白疾藜)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인한 치주염에도 응용하고, 혈을 하행(下行)시키므로

머리의 혈열을 내려준다.

▶우슬은 성질이 활(滑)하므로 유정·자궁출혈·임신과 비허(脾虛)로 인한

설사 등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우슬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원기를 회복시키고 근골을 튼튼하게하는 처방및 운동마비, 만성학질, 우슬초의 탕액을

누룩과 쌀과 함께 술로빚어 복용하거나 잘게 부수어 술에 담갔다가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강목]

풍습에 의한 마비, 요통으로 무기력한 증상 : 싹을제거한 우슬 37.5g,

계심(桂心) 3푼, 산수유 37.5g을 함께 짓찧고 가는체로 쳐서 그가루로

분말을 만들어 1회에 7.5g씩 식전에 알맞게 데운술로 복용한다. [태평성헤방]

 

▶칼 따위의 베인상처및동통 : 우슬초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매사집험방]

 

인후염, 일측성 편도선염: 신선한 우슬초 뿌리한줌, 애엽(艾葉)

7편(片)을 짓찧어 사람의 젖과 혼합한 다음 그즙을 코에주입한다.

잠깐있으면 입과 코로부터 담연(痰涎) 같은 즙액이 흘러 나온다.

애엽(艾葉)은 없어도 된다. [본초강목]

▶활혈통경 작용이 있으며 간과 신장을 보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며

리수통림(利水桶淋)작용과 혈을 아래로 보내는 작용이 있다.

 

▶어혈이 정체되어 생리가 잘 안나오거나 생리통이 심하고 생리불순, 산후복통에

효과가 있으며 넘어져 멍이든 사람에게 좋고 허리나 무릎관절이 아프고

힘이 없거나 소변불리, 수종에도 좋다.

 

▶약리실험에서 자궁수축작용, 이뇨작용, 항 알레르기작용,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작용,

등이 밝혀져서 무월경, 난산, 산후복통, 자궁무력증, 부정 자궁출혈,

부종, 임증, 부스럼, 타박상에 사용하며 특히 관절염에 효험이 있어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풍습성관절염에 모두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요로결석, 복수, 중풍, 어혈에도 우슬을 다려서 먹으면 효과가 있다.

▶임상실험보고에 의하면 뿌리를 2~3분간 삶았다가 건조시켜서 가루로 빻아

상음시켰을때 동맥경화증이 좋아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당뇨병이 심하여

허약해진 몸에도 이롭다고 한다.

▶뿌리를 소주에 담가 3개월 정도 냉암소에 보관해 둔 다음 아침저녁으로 조금씩 먹으면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관절염, 요통, 수족마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슬초의 채취는 줄기와 잎이시든 늦가을에 뿌리를 파내어 수염뿌리와

흙을 깨끗이 제거하고 주름살이 잡힐때까지 볕에 말린 다음

유황으로 몇번 쏘이고 끝을갈라 가지런히하여 다시 볕에 말린다.

▶하루11~19g을 물로 다리거나 술에 담그거나 약엿형태로 졸이거나

환을짓거나 가루로 먹는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생것 그대로쓰면 어혈을 가시고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임병, 혈뇨, 월경중지, 징가난산, 포의불하(胞衣不下),

산후의 어혈에 의한 부종 및 동통, 후비, 옹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익은것을 사용하면 간, 신을 보양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무릎골통, 사지경련, 위장과 비장을 치료한다. 

 

약선 응용

▶삶은 노루족발: 노루 족1개, 우슬 100g,대파, 후추를 넣고 삶아 먹는다.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풍한습비에 효과가 있으며 사지가 굳어지거나

힘이 없어지는 증상에 좋다.

 

우슬강압탕: 우슬30g, 해파리250g, 홍합60g을 마늘, 생강, 대파,등

조미를 하여 탕을 끓여 먹는다.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우슬경엽죽: 우슬경엽20g, 쌀100g을 넣고 죽을 끓여 먹는다.

풍습성관절염에 효과가좋고 허리나 무릎이시고 아픈데 좋다.

 

주의: 혈을 움직이게 하는 약재로 성질이 아래로 내려가므로

생리양이 많거나 임산부는 먹으면 않되고 비장이 허약하여 설사하는 사람,

꿈이많고 유정이 있는사람은 좋지 않다.

출처:다음

출처 : 심형보의 세상 살아가는이야기
글쓴이 : 느티나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