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좋아하는 노래

[스크랩] 산 넘어 남촌에는

728x90


산 너머 남촌에는/김동환

 

1

산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꽃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

밀 익는 오월이면 보리 내음새.

 

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남촌서 남풍(南風) 불 제 나는 좋대나.

 

2

산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저 하늘 저 빛깔이 저리 고울까.

 

금잔디 너른 벌엔 호랑나비 떼

버들밭 실개천엔 종달새 노래,

 

어느것 한 가진들 들려 안 오리

남촌서 남풍불 제 나는 좋데나.

 

3

산너머 남촌에는 배나무 있고

배나무꽃 아래엔 누가 섰다기,

 

그리운 생각에 재를 오르니

구름에 가리어 아니 보이네.

 

끊었다 이어 오는 가는 노래는

바람을 타고서 고이 들리네.

 

 

<해설> 1942년 김동환 시인의 시집 [해당화]에 실린 시이다.

남촌(南村)은 시인이 그리던 이상향이다. 남촌에는 해마다 봄바람에 실려 오는 꽃향기, 구수한 보리 냄새,

고운 하늘 빛, 호랑나비, 종달새 노래 등 희망과 사랑의 이미지들.


그렇다면 시인이 그리는 남촌은 어디쯤에 있다는 것일까?

독일 시인 칼 부세(Karl Busse, 1872-1928)가 노래했던

'저 산 너머'와는 사뭇 대조적인 시라는 것을 느끼게도 해 준다.


즉, 남들이 모두 산 너머 저쪽에는 행복이 있다기에 찾아갔다가 눈물만 흘리고 돌아왔다는

절망 의식과는 정반대로 마음 속 깊숙이 '남촌'이라는 이상향을 행복의 터전으로 설정해 놓고

그 미지의 세계에 기대하는 모든 희망을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망국의 한을 씻고 빼앗긴 강토를 되찾을 때 참다운 행복의 터전인 '남촌'이 이루어질 것을 확신하면서

그 간절한 소망을 이 작품에 담았다. (현대시 해설, 인터넷)

 

* '칼 부세'의 '저 산 너머'

 

저 산 너머 또 너머 저 멀리

모두들 행복이 있다 말하기에

남을 따라 나 또한 찾아갔건만

눈물지으며 되돌아 왔네.

저 산 너머 또 너머 더 멀리

모두들 행복이 있다 말하건만 ……


출처 : 행복한 중년들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