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스크랩] 풀꾼이 정리하는 지황

728x90

 

풀꾼이 정리하는 지황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 전체에 회백색의 긴 털과 선모(腺毛)가 빽빽하게 나 있다.
뿌리줄기는 적갈색이며, 처음에 아래를 향하여 뻗다가, 나중에 옆으로 길게 자란다. 재배한 것은 뿌리줄기가 비대해진다.
잎은 뿌리 곁에서 다수가 나며 긴타원형으로 길이 3∼10㎝, 나비 1.5∼4㎝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거친 톱니가 있으며,
한방에서는 9∼10월에 캔 뿌리줄기를   약재로쓰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9번 쪄서 말린겄을 숙지황 그중 특히 술에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황주(黃酒;중국의 양조주)를 첨가해서 찌고 검은색으로 되었을 때 꺼내어 말린 것을 9번 반복한겄을 숙지황중 구지황이라 이라 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본초) 인삼이 기의 약이라면 숙지황은 혈의 약이다.

한약에 대한 상식이나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약첩을 펼쳐볼때 까맣고 찐득찐득한 숙지황을 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그만큼 지황(地黃·Rehmannia glutinosa)은 흔히 사용되는 약재며 특히 보양강장제 처방에 빠지지 않고 배합된다. 만약 한약에 지황이 없었다고 가정한다면 보약이 그다지 특별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몸에 이롭다.
땅에서 파서 씻은 그대로를 생지황(生地黃), 말린 것을 건지황(乾地黃),쪄서 말려 새까맣고 끈적끈적하게 된 것을 숙지황(熟地黃)이라 하며 각각 사용하는 목적과 효험, 외형이 다르다.
지황이 든 한약을 복용중 무를 먹으면 머리카락이 희어진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것은 지황이 마늘·파·무우·구리 등을 만나면 약효의 감소는 물론, 심하면 오히려 콩팥의 기능을 저하시켜 머리카락을 희게 한다고 하나 약리적으로 명쾌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고전 문헌에 나타난 지황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생지황=성미는 달고 쓰며 찬데 독은 없다(약학대사전), 각종 출혈을 낮게 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한다(향약집성방), 열을 내리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어혈을 없앤다(의방유취), 실화가 있으면서 변이 통하지 않는 것을 잘 낫게 한다(본초종신록)
▲건지황=성미는 생지황과 같고 골절·외상·하혈·혈뇨·자궁출혈을 낮게 한다(향약집성방), 먹은 것을 잘 내리게 하고 기력을 세게한다(향약집성방), 산후복통을 잘 멈춘다·피부건조증을 낫게 한다(의방유취), 비허로 설사하고 위허로 입맛이 떨어진 때에는 쓰지 않는다(의방유취)
▲숙지황=달고 약간 따스하고 독이 없다, 피가 모자라는 것을 크게 보하며 힌머리털을 검게 하고 골수·근육·힘줄·뼈 등을 든든하게 한다(동의보감),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기력을 도우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동의보감), 간신을 보하며 음혈을 자양하는 좋은 보혈약이다(의방유취), 오랜 설사를 멈추며 음허로 오는 발열·마른기침·숨가쁨을 낫게 한다. 또한 음허로 땀이 나지 않는 것과 변이 굳은 것도 잘 낫게 한다.

지황의 약리작용은 현대의학에서도 다양하다.
▲생지황=해열보약, 지혈약, 코피, 토혈, 여러가지 열성질병으로 열이 많이 오르고 갈증이 나는 데, 고혈압때의 변비, 인후두염, 여러가지 외과적
염증 등에 쓰인다.
▲건지황=보약, 지혈약, 이뇨약, 토혈, 코피, 변비, 열성병 때의 심장쇠약, 자궁출혈, 태동불안, 성욕항진, 당뇨병, 방광 및 요도의 염증, 고혈압
병 등에 효험이 있다.
▲숙지황=보약, 빈혈, 위황병, 병후 및 산후쇠약, 여러가지 소모성 질병, 뇌변혈, 자궁출혈 등에 쓴다. 입맛이 없고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에
는 쓰지 않는다.
다양한 효험을 가진 약초지만 주의할 점도 있다.
숙지황은 비허로 설사를 허거나 위허로 입맛이 없는 때, 가래끊는 때에
는 쓰지 않는 것이 정도다. 또 약재를 구리 또는 쇠그릇에 대지 말아야 한
다. 구리나 쇠그릇에 넣고 조제하거나 달여먹으면 머리털이 희어질 우려가
있다.
생지황에는 음을 자양하고 피를 식히는 효능이 있다.
 




 
한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에서는 '간이 피로를 주관한다' 또는 '비장은 사지를 주관한다' 하여 피로를 간(肝)이나
비장(脾)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치료에 있어서도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기국지황탕(杞菊地黃湯), 소요산(逍遙散), 생맥산(生脈散) 등의 처방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풀어 주면서 간과 비장의 부족한 기운을 보충해 주게 된다.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사물탕은 여성의 출산 후나 월경 등으로 인한 과다출혈, 허약, 어지럼증등에 널리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虛痰)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차로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茯笭)·반하(半夏) 등과 배합하여사용하였다. 이밖에도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효과가 있다. 영양분이 많고 기름기가 있어 장기간 복용하면 소화장애를
일으켜 설사·복창(腹脹) 등 부작용이 생긴다. 그러므로 입맛이 없고 소화가안되며 설사를 하는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숙지황은 인체의 기능강화, 혈당강화 이외에 강심.이뇨 작용이 있으며,임상적으로
응용되는 것은 빈혈과 혈액이 부족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에 다른 약재와배합하여사용하며, 보혈(補血)의 중요한 처방인 사물탕(四物湯)을 만드는데쓰이며, 만성적 혈액 질환에 좋아 부인과에서 가장 많이 쓰입니다
 
 
몇년전 대학 연구팀들이 육계사료에 건지황을 l∼2% 정도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의 연구에서 실험 동물의 혈당량(염화암모늄과혈당)을 뚜렷하게 줄이며.
중추신경계를 흥분시켜서 혈압이 높아져 . 이뇨작용, 심장수축작용 이 있음이확인되었다 .
카타폴은 흰생쥐의 지속적인 이뇨와 약한 설사작용이 있습니다. 레호마니오시드D는 혈당낮춤 작용을 나타 내었다 .
특히 육계의 성장과 생리적 변화가 현저히 개선되었으므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질 좋은 육계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 되어 앞으로 사료 연구에 밝은 빛을 주고 있다
많은 효과에 비해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숙지황은 단맛이 강하고 점액성이 강하므로 장기간 복용시 소화기 장애를일으켜설사나 복부 불쾌감 등 부작용이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위장장애가 있을 경우 복용에 주의하세요(장기 복용시)
 
" 명나라 때의 의학자인 장경악은 이렇게 말했다.
“생지황은 냄새는 약 하나 맛은 "진하며, 피" 를 생 "산, 보" 혈하 고 심장 의 화를 식힌다.
혈액 속의 열을 몰아내고 답답함을 해소시킨다.

현삼과 생지황 그리고 돼지간을 함께 요리해 먹으면 음을 양호하고 심장을 편안하게 하고 간장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
음허한 체질의 사람이 몸을 건강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며 체력을 강화할 뿐 아니라 강한 체질을 유지시 켜 준다

 

 

 

 

 

 

 

<출처;yahoo 크늘채 (dongbee2003)>

 

 

 

 

 

사진,,,작성자 : [위키피디아] Shizhao
 

 

                                

생지황은

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

지황에 함유된 catalpol 성분이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을 하여 변비와 당뇨병에 효과적이며,

성질이 차고 수분이 많은 약재여서 혈액을 서늘하게 하고 열을 내리며 피를 맑게하고, 몸안의 진액을 생성시킵니다.

소갈, 구갈, 각혈, 토혈, 코피, 혈뇨, 발열, 인후통 등의 병증을 다스립니다.
 
또한 생지황은 지황 날것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피를 맑게 하고 조직내에 침출된 어혈을 풀어주는데 더할 수 없는

명약이라 타박상의 멍, 붓기등 증상에 매우 효과적이여서 파스의 원료로도 사용됩니다. 





                               

건지황은

생지황과 비슷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건조 과정에서 열을 가미함에 따라 성질이 조금 더 따뜻합니다. 

생지황과 비슷하게 골절, 외상, 하혈, 혈뇨, 자궁출혈, 복통등 병증을 다스립니다. 




                               

숙지황은 

건지황을 9번 찌고 9번 말린 약재 입니다.

예로부터 동의보감에 흰머리를 검게 해주고 근육, 힘줄, 뼈등을 튼튼하게 해준다는 약재로 

따뜻한 성질을 띄며, 생지황, 건지황 보다 보혈과 조혈작용이 더강합니다.

간장과 신장의 진음부족으로 인한 어지러움, 귀울림, 당뇨, 수면중에 땀을 흘리는 증상, 무릅과 허리가 저리고 약한 증상,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관절 시림증상, 정액을 흘리는 증상, 빈혈,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 월경불순등 병증을 다스립니다.

이러한 효능을 갖은 터라 십전대보탕, 사물탕, 육미지황탕, 팔미지황탕, 인삼영양탕, 쌍화탕, 자음강화탕, 연령고본단,

녹용대보탕 등 보약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약재입니다.

출처: 다음

 

 

 
출처 : 하 얀 꿈
글쓴이 : 하얀꿈 원글보기
메모 :